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산업부, 섬유기업 저탄소 설비 전환에 최대 1억 원 지원

6일부터 '섬유소재 공정 저탄소화 기반조성사업' 참여기업 모집

2025.02.05 산업통상자원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정부가 탄소 다배출 노후설비 교체를 희망하는 섬유 기업에 최대 1억 원의 전환자금을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는 6일부터 국내 섬유업계의 저탄소 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섬유소재 공정 저탄소화 기반조성사업'의 참여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개막한 '대구국제섬유박람회(Preview In DAEGU)'를 찾은 울산대 의류학과 학생들이 원단 샘플을 살펴보고 있다. 2024.3.13.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개막한 '대구국제섬유박람회(Preview In DAEGU)'를 찾은 울산대 의류학과 학생들이 원단 샘플을 살펴보고 있다. 2024.3.13.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섬유산업은 철강·석유화학·시멘트 등과 함께 탄소 배출이 많은 업종으로 원단제조와 염색 과정에서 전체 공정의 절반 이상의 탄소가 배출된다.

특히, 국내 섬유업계는 10인 미만 영세기업 비중(88.6%)이 높아 저탄소 전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산업부는 2023년부터 저전력모터, 폐수열교환기 등 저탄소설비로의 교체를 지원하고 있다.

한편, 유럽연합(EU)은 섬유제품에 대해 2027년부터 디지털제품여권(DPP:DigitalProduct Passport) 규제를 도입할 예정이며, 글로벌 섬유·패션 바이어들도 공급망 기업에 대한 탄소 산정·감축 요구를 강화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부터 전력량계, 유량계 등 에너지 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설비까지 지원범위를 확대한다.

EU는 원료·부품 정보, 탄소발자국, 재생원료 함량 등 제품의 공급망 전 과정의 데이터를 디지털화해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의무화한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3일 오후 서울 강남구 대치동 섬유센터 회의실에서 열린 '섬유패션 업계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2024.8.13.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3일 오후 서울 강남구 대치동 섬유센터 회의실에서 열린 '섬유패션 업계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2024.8.13.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산업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중소·중견기업은 70%, 대기업은 50%까지 설치비용을 지원한다.

또한 선정된 업체는 탄소감축 전문가의 컨설팅(상담)을 받을 수 있고, 탄소감축효과가 상위 30%에 해당하면 탄소감축 확인서도 발급받을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산업부 홈페이지(https://www.motie.go.kr)와 한국섬유수출입협회(https://www.textra.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의: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관 산업환경과(044-203-4242)

하단 배너 영역